폐수처리 및 재이용 설비

가정용과 산업용 폐수의 오염정도는 크게 상이합니다. 폐수는 화학적, 생물학적 그리고 물리적인 공법들을 통하여 정제 후 배출, 혹은 특정 사용목적에 부합되도록 정제 후 재사용 됩니다. 폐수처리 공정은 기본적으로 오염물질 제거와 정수 생성이라는 순환적 프로세스로 설계됩니다.

한성크린텍은 다양한 산업의 폐수처리 분야에서 25년 이상의 경험과 Know-How를 바탕으로 산업폐수 특성에 가장 적합하고,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시스템을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 전기·전자산업 폐수처리
    (Electrical Industry)

    개요

    전기 및 전자산업이 발달할수록 폐수처리공정도 산업폐수 성상에 맞추어 변화되고 있습니다. 전기 및 전자산업 폐수는 크게 무기폐수와 유기폐수로 나누어집니다.
    따라서 사업장에서 폐수가 배출될 시, 폐수를 무기폐수와 유기폐수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것이 최적의 폐수처리 설계를 위하여 유리합니다. 일반적인 처리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무기폐수 처리공정도 (Inorganic Wastewater Treatment Diagram)

    사업장에서 무기계폐수가 배출되면 1차적으로 폐수집수조로 집수되며,
    배출된 폐수의 성상에 맞추어 pH조정조에서는 후단공정의 반응 및 응집시 최적의 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pH를 조정합니다.
    반응조와 응집조의 공정에 맞는 약품을 투입하여 응집반응이 완료되면,
    침전조 또는 가압부상조에서 슬러리 성분을 분리하여 처리수를 처리수조로 이송되어 최종 여과장치를 통하여 방류하게 됩니다.

    유기폐수 처리공정도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Diagram)

    사업장에서 유기폐 폐수가 배출되면 유기폐수 집수조로 유입되어 집수됩니다.
    집수된 폐수는 후단의 포기조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하여 pH조정조에서 성상에 맞게 pH를(6~8) 조절합니다.
    포기조에 유입된 폐수는 폐수의 성상에 맞는 미생물이 유기성 오염물질을 기질로 사용하여 섭취 후, 고분자 COD성분을 저분자 물질로 분해하여 처리하는 공정입니다.
    처리과정에서 미생물의 번식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기 위하여 충분한 산소를 제공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포기조에서 발생된 유기성 슬러지 성분을 침전조를 통하여 슬러지 성분을 분리하고, 후단의 여과설비를 통하여 방유기준에 맞추어 방류하게 될 것입니다.
    여기서 COD성분의 보증수치에 따라서 활성탄 여과기의 설치유무를 결정하게 될 것 입니다.

    유기폐수 MBR 처리공정도 (한성크린텍 공정 특허기술)

    기존의 전통적인 유기폐수 처리공정 중 응집 및 침전설비를 대신하여 MBR process를 도입하므로써, 기존의 공정에 비하여 설치면적이 감소되었고,
    배출 슬러지가 감소하며 원폐수의 성상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않고 안정적으로 운전되어 운전관리가 원활하며, 다양한 종류의 Membrane을 적용할 수 있어 설계가 용이합니다.
    특히 폐수를 재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성크린텍은 MBR process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축적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장의 폐수를 분석하여 최적의 MBR process를 설계하여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MBR (Membrane Bioreactor)

    최근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및 영양염류 제거방법과 막분리 공법이 혼합된 MBR 공정으로 생활폐수와 산업폐수처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MBR 장치는 생물학적 반응조 내부에 혹은 외부 순환방식으로 설치됩니다.
    다양한 종류의 멤브레인을 사용할 수 있어 적용범위가 넓고, 설치공간이 간소하며 공정이 축소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염도가 높은 폐수처리, 높은 수량의 폐수처리, 폐수재이용, 슬러지 감소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탁월한 여과성능으로 활성슬러지공법과는 달리 여과설비와 소독시설이 불필요합니다.
    시설의 컴팩트화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설치공간 축소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

    • 높은 기준의 폐수처리 능력
    • 생물학적 농축도
    • 설치공간의 간소화 및 공간활용
    • 슬러지 감소화 및 경제성 창출

    Objectives

    • 생분해성 약품 사용 감소
    • 세균, 탁도, 유기물 감소
    • 표면활성 약품 사용 감소

    적용 분야

    • 생활, 산업폐수 처리
    • 高 오염수 처리
    • 폐수 재활용

    MBR 막오염 방지기술

    주기적인 역세정

    - 처리수를 여과 반대방향으로 주입하여 공기세정과 분리막 표면의 부유물 퇴적 방지
    - 밸브 자동조작으로 단일 펌프에 의한 여과와 역세정 수행(14분 여과, 30초 역세정)

    사이클릭 공기세정

    - 산기관을 양분하여 10초 간격으로 공기 교대공급
    - 생물반응조 내 과포기 방지 및 동력비 절감효과

    주기적 유지세정

    - 역세정수에 약품 첨가 (NaOCl)
    - 30초 역세정, 10분간 정치 과정을 반복
    - 주 2~3회 시행으로 생물 반응조 영향 없이 분리막 표면의 미생물 증식 억제

    운전 자동화에 의한 막 파울링 제어

    전기·전자산업 폐수처리 설비 사진

  • 석유화학산업 폐수처리
    (Petrochemical Industry)

    개요

    21세기 산업의 다양화와 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석유화학산업도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여기서 발생되는 산업폐수를 처리하는 기술도 계속해서 발전되어지고 있습니다.
    석유화학 공장에서 발생되어지는 폐수처리 설비의 일반적인 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석유화학 폐수처리 공정도

    석유화학 폐수처리 특징

    석유화학 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크게 오일함유폐수와 일반공정폐수로 분리될 수 있습니다.
    오일이 함유된 폐수는 별도로 집수하여 API unit으로 이송되면 물과 오일의 비중차이에 의하여 분리되며, 이때 물위로 부상된 Free오일은 스키밍하여 제거됩니다.
    API에서 제거되고 잔류한 오일은 CPI를 통하여 90% 이상 제거됩니다. Oil 성분이 90% 이상 제거된 Oil 함유폐수는 균등화조로 유입되어 일반공정폐수와 혼합됩니다.
    균등화조에 유입된 폐수는 pH조정, 반응 응집조를 통하여 DAF나 IAF로 유입되어 폐수 중에 함유된 이멀젼 오일 성분과 슬러리를 상부로 부상시켜 제거합니다.

    1차적으로 처리된 폐수는 폐수중에 함유된 고분자 COD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포기조에 유입되며, 포기조에서 미생물에 의하여 고분자 COD성분은 분해되어 저분자 물질로 변화됩니다. 이때 발생되는 바이오 슬러지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전조로 유입되며, 침전조에서 슬러지는 침전되어 탈수설비로 이송됩니다.
    상등수는 방류하거나 고도처리가 필요한 경우 Sand Filter나 A/C Filter를 통하여 고도처리 후 방류됩니다.

    석유화학 폐수처리 설비 사진

  • 발전산업 폐수처리
    (Power Industry)

    개요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부수적으로 전기 사용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하야 하므로 많은 발전소가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이에따른 발전폐수가 배출되고 배출된 폐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됩니다. 일반적인 발전폐수의 처리공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전 폐수처리 공정도

    발전산업 폐수처리 특징

    발전폐수는 오일함유폐수, 정상 운전시 발생되는 일상폐수, 그리고 발전소 유지보수시에 발생되는 비정상폐수로 구분되어 집니다.

    1차로 오일함유폐수는 API 혹은 CPI에서 물과 기름의 비중차이에 의하여 분리하여 Free오일을 제거합니다.
    Free오일은 일반적으로 물위에 부상되어 육안으로 구별이 가능한 오일을 말하며, 이멀젼 오일은 물속에 녹아있어 눈으로 식별이 안되는 오일성분을 말합니다.
    따라서 API와 CPI에서 제거되지 않는 이멀젼 오일은 후단의 IAF나 DAF에서 제거하여 일상폐수조로 유입됩니다.

    일상폐수조로 유입된 오일제거폐수는 일상폐수와 혼합되어 처리되며,
    발전소 유지보수시 발생되는 비정상폐수는 비상집수조에 집수하여 조금씩 일상폐수조에 혼합하여 처리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발전폐수는 오일 및 슬러지성분을 제외하고 큰 오염물질이 없으므로, 후단의 공정은 pH조정, 반응, 응집조를 지나 침전조를 통하여 슬러지성분을 제거한 후 방류하거나,
    중수로 사용할 경우 고도처리 설비인 Sand Filter와 A/C Filter를 설치하여 중수로 회수하여 사용하거나 방류할 수 있습니다.

    발전산업 폐수처리 설비 사진

  • 폐수 재이용 처리
    (Reclaiming System)

    개요

    양질의 수자원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시점에서,
    물의 사용이 많은 제철소, 발전소, 제지, 전자산업에서는 공정용수로의 직접적인 재이용을 통한 무방류 시스템 구축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재이용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용수생산 원가 및 투자비 절감 그리고 향후 생산설비 증대에 따른 안정적인 용수공급 확보와 추가시설 최소화라는 이점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한 폐수를 분리막을 통하여 재처리한 후 필요 시 추가공정을 지나 특정한 목적으로 재사용됩니다.

    한성크린텍은 다양한 재이용설비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장에서 폐수의 성상을 진단하여 재이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폐수의 성상에 맞는 최적의 재이용설비를 설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성크린텍 특허 재이용설비 공정도

    시스템의 장점

    • 법적 방류수질을 엄격하게 확보
    • 유지관리가 용이 (운전의 용이성 및 자동화)
    • 유입 수질변화에도 안정적인 처리수질 확보
    • 향후 예상되는 방유수수질기준 만족 (영양염류)
    • 재활용수 공정을 위한 최적의 전처리

    응용분야

    • 초순수 배수회수 시스템
    • 산업시설 무방류 시스템
    • 산업폐수처리설비 배출수 재이용
    • 플랜트 내 사용되는 중수활용 시스템

    재이용 설비 사진